교수소개

바이오로보틱스실험실

바이오로보틱스실험실 Biorobotics Lab.



기존의 로봇은 군사용, 재난대비, 건설용 등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할 수 있는 산업형 로봇 연구개발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신체장애우를 위한 재활로봇, 고령사회를 대비한 실버로봇, 자연물질의 원리를 이용한 생체모방 로봇 및 나노기술을 응용한 진단 검사용 바이오센서 등의 지능형 로봇으로 넓어지고 있다. 바이오 로봇 기술의 발전이 의료·농업·기계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요구함에 따라 바이오로보틱스 실험실에서는 바이오공정, 바이오나노센서,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 나노소재 가공기술, 3D프린팅, 인공지능 등의 첨단 기술을 유연성 웨어러블 디바이스, 세포진단, 생체모방공학과 관련된 핵심 기술 연구를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위치 : 농업생명과학대학1호관 206호

생체로봇
  • 생체모방 로봇
  • 의료용 로봇
  • 재활용 로봇
진단 검사용 바이오나노 센서 및 바이오로봇
  • 나노입자를 활용한 바이오센싱 및 분석법
  •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se) 형태의 실시간 진단 키트
  • 미세유체(Microfluidics)를 활용한 약물 전달 조절 시스템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
  • 천연물 소재, 나노입자, Micro-nanostructure를 활용한 생체 모사
  • 전기 자극, 전자기장 조사를 통한 dynamic 상태에서의 조직 분화 및 조직재생
  • 3D 세포배양 및 분화를 위한 복합 세포지지체(Scaffold) 제작
  • 바이오리엑터(Bioreactor) 시스템 설계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 Hydrogel과 천연소재 활용한 바이오잉크 제작
  •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인공장기 인쇄
  • 3D 바이오프린터 설계
마이크로 나노소재 가공기술
  • Graphene, CNT(Carbon Nano Tube) 합성 및 정제
  • 농업부산물로부터 CNC(Cellulose Nanocrystal) 추출 및 정제
  • 나노물질 코팅 기술
생체역학
  • 세포 기작의 물리적인 분석
  • 세포 기작의 수학적인 분석
  • 세포 이동의 동역학적인 분석


구성원 정보
담당교수 : 임기택
재실연구원
  • 박사후연구원 : 두타 ** 뎁 (ssddgenome@gmail.com)
  • 박사후연구원 : 테잘 ** (tejal.patil07@gmail.com)
  • 박사과정 : 루미** (acharyarumi7@gmail.com)
  • 석사과정 : 설*진 (yj.seol1008@gmail.com)
  • 석사과정 : 전*준 (myoungjoon.jeon@gmail.com)
박사졸업자
  • 두타 ** 뎁 - Development of 3D bioprinted immunomodulatory soft hydrogels for tissue regeneration 
  • 강굴리** - Development of 3D Biomimetic Anisotropic Platforms for Modulating Dynamic Macrophage Polarization and Tissue Regeneration Under External Physical Stimulation
  • 테잘 ** - Zn@TA assisted dual cross-linked 3D printable glycol grafted chitosan hydrogels for robust antibiofilm and wound healing
  • 아유** - Transcriptomic profiling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using a pulsed electromagnetic-wave motion bioreactor system for enhanced osteogenic commitment and therapeutic potentials
석사졸업자
  • 김*빈 - Enhanc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on scaffolds containing carbon nanomaterials
  • 서*리 - Development of extracellular matrix (ECM)­ like electrospun nanoscaffolds with nanocellulose on reduced graphene oxide substrates for tissue engineering
  • 신*철 - Development of biomimetic 3D printed scaffolds with alginate-gelatin-cellulose nanocrystal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 *진 Nanocellulose/carbon nanotube bi-functionalized self-healing hydrogel with superior antibacterial performance for self-powered triboelectric wearable electronic device 
  • *은 - Electrically stimulated ECM biomimetic double-layer asymmetric scaffolds for superior antibacterial and enhanced wound healing
  • *서 - NIR-activated catechol-functionalized nanodiamond nanofibers for accelerating on-demand MRSA and E. coli biofilm erad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