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GWON NATIONAL UNIVERSITY
첨단농업의 내일을 여는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농업의 미래를 설계하는 첨단학과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모창연 교수 「인공지능(AI)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 ‘비전(BeeSion)’」 세계 최초 개발
전공 로봇 동아리농업용 로봇 경진대회 본선 진출
당신에게 날개를 달아줄진로지도 워크숍
스마트 기술로 미래 농업을 설계하다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스마트 혁신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2025 취업위크 개최 안내!!!
2025-2 러닝코어 신청 안내
1. 사 업 명: 2025학년도 2학기 러닝코어 2. 운영내용: 팀별 학습활동 및 학습 상담 3. 운영대상: 강원대학교 학부 재학생 4. 활동기간: 2025. 9. 22.(월) ~ 2025. 12. 31.(수) 5. 지원규모: 총 80팀 6. 지원유형 가. 단 짝 형: 지도교수(1인)+가르치미(1인)+배우미(1인) 나. 공동체형: 지도교수(1인)+가르치미(1인)+배우미(2인) 7. 지원혜택 가. 활동장학금: 가르치미 35만원, 배우미 25만원 나. 우수․최우수장학금: 개별 10~15만원 추가 지급 다. 비교과 마일리지 부여 8. 신청기간: 2025. 9. 2.(화) ~ 9. 16.(화) 9. 신청방법: 교육혁신본부 홈페이지(https://itl.kangwon.ac.kr/) → 학생중심교육센터 → 학습지원-공동체형프로그램 → 러닝코어 → 신청하기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확인
2025-2 「챌린지러너」 시행 공고
1. 운영목적 : 교외 공모전 및 경진대회(학술대회 등) 참여 지원 2. 운영대상 : 재학 중인 강원대학교 학부생 및 대학원생 3. 활동기간 : 유형별 상이 4. 지원규모 : 총 60팀(캠퍼스통합) 5. 선발규모 : 숏텀 42팀 6. 세부내용 : [붙임1] 문서 참조 7. 신청기간 : 공고 ~ 2025. 9. 16.(화) 24시까지 8. 신청서류 : [붙임2] 문서 제출 9. 신청방법 : 교육혁신본부홈페이지(https://itl.kangwon.ac.kr/) → 학습지원프로그램신청 → 챌린지러너 → 2025학년도 2학기 신청
2025년도 연구실 정기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결과 알림 및 지적사항 개선 요청
연구실 정기점검 결과가 나왔습니다. 각 실험실 결과 확인해주시고, 작성파일을 기한내에 제출바랍니다. -기한 : ~ 2025. 9. 24(수) 까지 -작성파일 : (붙임1) 지적사항 목록 양식 -제출방법 : 조교 카톡으로 회신
2025학년도 2학기 일반대학원 학위청구논문심사 안내
2025학년도 2학기 일반대학원 학위청구논문심사 계획을 다음과 같이 알려드리니 기한안에 꼭 확인바랍니다. 가. 신청방법: 학생이 K-cloud 로그인 후 신청(붙임 참조) 나. 신청기간: (박사 및 통합) 2025. 9. 19.(금) ~ 10. 2.(목) (석사) 2025. 10. 13.(월) ~ 10. 24.(금) 붙임 1. 2025학년도 2학기 일반대학원 학위청구논문심사 안내 1부. 2. 강원대학교 학위논문 작성 및 제출에 관한 지침 1부. 3. (참고) 강원대학교 대학원 학위수여 규정 1부. 끝.
방학기간 중 정전 알림( 8/17(일) 14:00 ~ 16:00(2시간))
하계방학기간 중 시설사업 추진 및 전기설비 점검에 따른 정전일정을 알려드리오니 정전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변전실 정기검사 8/17(일) 14:00 ~ 16:00(2시간) 학내전체정전 ※ 정전예외건물: 의대, 동생대, 수의대(동물병원), 인문대, 사회대, 법대, 기숙사, 대운동장, 백록관, 서암관, 백령아트센터, 첨단건설연구소, 미래도서관 ※ 공사진행 상황에 따라 정전시간이 변동될 수 있음
2학기 개강
2025.09.01 ~ 2025.09.01
2학기 수강신청 변경 및 취소
2025.09.01 ~ 2025.09.05
학위논문제출 자격 전공시험(대학원)
2025.09.01 ~ 2025.09.11
임기택 교수「슬라임 곰팡이 모사한 ‘전자 피부’ 기술」개발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임기택 교수팀이 슬라임 곰팡이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의 다양한 감각을 모사하고, 자가치유 및 항균 치료 기능을 갖춘 혁신적인 ‘전자 피부(E-Skin)’ 패치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 18.5, JCR 상위 5%, JCI 상위 5%) 2025년 5월호에 게재됐다. 임기택 교수팀이 개발한 전자 피부 패치는 단순한 생체 신호 센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람의 움직임, 온도, 습도, 음성 등 다양한 생체 정보를 정밀하게 실시간 감지할 수 있으며, 의료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항균 치료 기능까지 포함하고 있다. 특히, 만성 상처 부위에 부착 후 근적외선(NIR)을 조사하면 80도(℃)까지 온도가 상승해 대장균(E. coli)과 MRSA 등 항생제 내성균을 99% 이상 제거하는 성능을 입증했다. 임기택 교수팀은 이번 기술의 핵심은 슬라임 곰팡이(Plasmodium)의 형태 재구성 능력과 자가 치유 특성을 모사하여, 폴리비닐 알코올(PVA), 젤라틴, 탄소나노튜브(CNT), 셀룰로오스 나노결정(CNC)을 복합화하여 PVG/NC 하이드로겔을 개발했다. 이 소재는 1000% 이상의 신축성과 5초 이내 자가 치유 능력, 온도에 따라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성능 등 기존 전자 피부 소재와 차별화된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PVG/NC 하이드로겔은 고점탄성 및 전단박화(shear-thinning) 특성을 활용해 3D프린팅으로 손가락 관절, 손목, 팔꿈치, 목 등 다양한 인체 부위에 맞춤형 전자 패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섬유나 피부 등 다양한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반복적인 움직임에도 감지 성능을 유지한다. 실제 테스트 결과, 이 전자 피부는 손목과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은 물론, “OK”, “BYE” 등의 음성 명령도 저항 변화로 정확히 감지했고, 피부 표면 온도·습도 변화 측정, 스마트폰 터치, 전자펜 기능 등 다양한 시연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했다. 임기택 교수는 “이번 PVG/NC 전자 피부는 기존의 경직된 센서의 한계를 넘어, 부드럽고 유연하며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소프트 플랫폼”이라며 “향후 AI 기반 웨어러블 기기, 인간과 유사한 감각을 가진 로봇 피부 개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및 산림과학연구소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논문명: Bioinspired shape reconfigurable, printable, and conductive “E‐skin” patch with robust antibacterial properties for human health sensing ■ 저널: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 DOI: https://doi.org/10.1002/adfm.202504088 ■ 저자명: Hojin Kim, Sayan Deb Dutta, Myoung Joon Jeon, Jieun Lee, Hyeonseo Park, Youjin Seol, Ki-Taek Lim
2025-09-02
한웅철 교수「AI 기반 드론 정밀 살포 제어 시스템」개발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한웅철 교수 연구팀이 「AI 기반의 저비용·모듈형 드론 변량 살포 제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AI) 기술과 드론 살포 기술을 융합해, 자동화된 정밀 살포 제어 플랫폼을 구현한 것으로, 기존 드론 농약 살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다 살포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한웅철 교수 연구팀은 Random Forest 모델을 기반으로 살포 균일성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다양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다 정밀하고 목표 지향적인 살포 작업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GPS 좌표 정보를 활용하여 드론의 현재 위치와 목표 구역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고정밀 지점에 살포가 이뤄지도록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87.1%에서 최대 98.8%에 달하는 높은 살포 정확도를 기록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드론의 과잉 살포 문제를 억제하면서도 저비용·모듈형 기반의 확장성과 현장 적용성을 확보한 것으로, 향후 스마트 드론 살포 시스템의 대중화와 농업 현장의 효율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drone spraying control system based 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spray distribution’라는 제목으로 세계적 권위의 농업 공학 분야 학술지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Impact Factor=7.7, JCR 상위 1%)에 게재됐으며, 한국농촌진흥청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한웅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드론 기술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지능형이면서도 경제적인 자동화 제어 시스템을 개발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를 통해 스마트농업의 대중화와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