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학과전공분야 1
바이오시스템공학(Biosystems Engineering)
전공소개
바이오시스템공학은 농림축산물 및 기타생물자원의 생산, 분석, 이용개발 및 생산 후 처리, 가공작업에 사용되는 기계, 설비, 시설의 개발과 생산에 관한 학문으로서 주로 기계 및 전기․전자 등의 공학지식을 생물산업에 적용하는 응용공학의 한 분야이다. 현대의 바이오시스템공학은 단순한 생물의 생력화 및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생물신소재개발시스템 및 바이오 시스템의 구축과 이에 따른 쾌적한 작업성을 확보해야 하므로 전기, 전자, 컴퓨터, 재료 등과 같은 첨단과학분야의 기술을 많이 응용해야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학과는 공학적 지식과 첨단과학기술을 농림축산업에 응용하여 고도의 생산성과 경제성을 달성할 수 있는 유능한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것을 학과의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본 학과에서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기계 및 장비를 연구하거나 제작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갖추고 있는 바이오시스템공작실, 농업 작업기계의 첨단화 자동화를 연구하는 포장작업기실험실, 자연 친화적인 작업환경 및 기계 등을 연구하는 생물환경기계실험실, 전기․전자, 컴퓨터 등의 첨단 공학 등을 기계에 응용하여 무인화 자동화를 연구하는 제어계측실험실과 농림축산물의 생산 후 가공, 저장 및 관리에 필요한 기술, 기계 및 장비를 개발․연구하는 바이오식품공학실험실과 생물산업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의 연구 및 시스템 개발을 하는 에너지시스템실험실이 있다.
본 학과에서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기계 및 장비를 연구하거나 제작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갖추고 있는 바이오시스템공작실, 농업 작업기계의 첨단화 자동화를 연구하는 포장작업기실험실, 자연 친화적인 작업환경 및 기계 등을 연구하는 생물환경기계실험실, 전기․전자, 컴퓨터 등의 첨단 공학 등을 기계에 응용하여 무인화 자동화를 연구하는 제어계측실험실과 농림축산물의 생산 후 가공, 저장 및 관리에 필요한 기술, 기계 및 장비를 개발․연구하는 바이오식품공학실험실과 생물산업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의 연구 및 시스템 개발을 하는 에너지시스템실험실이 있다.
교수소개
전공별(A) | 직 급 | 성 명 | 학위명 | 전공분야(B) |
---|---|---|---|---|
바이오시스템공학 | 교수 | 김상헌 | 공학박사 | 농업기계학 |
교수 | 신범수 | 공학박사 | 바이오시스템 제어․계측 | |
교수 | 이귀현 | 공학박사 | 식품가공․에너지공학 | |
부교수 | 김대현 | 공학박사 | 에너지시스템 | |
조교수 | 임기택 | 공학박사 | 바이오공학 | |
조교수 | 남주석 | 공학박사 | 농업기계학 |
※ 전공별(A)는 학과에 개설된 전공명임.
※ 전공분야(B)는 해당교수의 전공분야임.
※ 전공분야(B)는 해당교수의 전공분야임.
수여학위 : 공학 석사, 공학 박사
교육과정
공통필수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학점 및 시수 |
---|---|---|
138001 | 대학원논문연구 (Thesis Advising) | 1-0-2 |
공통선택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학점 및 시수 |
---|---|---|
138002 | 대학원세미나 (Seminar) | 1-0-2 |
전공선택
교과목 번호 | 교과목명 | 학점 및 시수 |
---|---|---|
138006 | 농업기계제어 (Agricultural System Control) 농업 및 생물시스템의 자동제어를 위하여 수학적 모델, 제어이론 및 그 응용. |
3-3-0 |
138007 | 응용기구학 (Applied Kinematics) 농업기계에 이용되는 기구의 기구학적 분석 및 기구합성. |
3-3-0 |
138017 | 마이크로컴퓨터인터페이스 (Microcomputer Interface)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농업생물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제어회로와 컴퓨터와의 접속기술. IBM PC의 내부구조, 어셈블리언어, 각종 I/O, 데이타 통신. |
3-3-0 |
138019 | 유압동력 (Fluid Power) 유압기계의 구성 요소와 시스템의 이론 및 응용. |
3-3-0 |
138020 | 응용공업수학 (Applied Engineering Mathematics) 농업기계공학에 응용될 수 있는 고급공업수학 |
3-3-0 |
138021 | 실험통계분석법 (Experimental Statistical Analysis) 농업기계의 성능평가 및 각종 실험데이터에 대한 통계적기법의 적용 |
3-3-0 |
138022 | 농산가공 및 처리공학 (Process & Treatment Engineering of Agricultural Products) 농산물의 열 및 물리적 특성, 공기와 수증기의 특성; 농산물의 크기 선별, 세척, 이송기술의 응용. 농산물의 건조, 농산물의 분쇄, 저장기술의 원리와 응용기술. |
3-3-0 |
138024 | 응력해석 (Stress Analysis) 응력 및 변형에 관한 분석과 공학적인 문제에 응용. |
3-3-0 |
138027 | 농업기계설계 (Design of Agricultural Machines) 농작업기계의 요소와 기구에 관한 설계. |
3-3-0 |
138029 | 응용유체역학 (Applied Fluid Flow) 다차원유동장에 대한 기본방정식의 유도, 물체 표면 및 관내의 점성유체역학, 경계층 해, 상사이론. |
3-3-0 |
138031 | 관개배수기계학 (Agricultural Pump Engineering) 농업용 펌프, 터빈, 유압기계의 이론 및 설계. |
3-3-0 |
138033 | 응용수치해석 (Applied Numerical Analysis) 농업공학분야의 공학적분석 및 연구를 위한 고급응용수학지식의 기계시스템에 대한 실제적용. 퓨리어급수 및 변환 응용, 경계치문제. |
3-3-0 |
138051 | 생물체 물성공학 (Phys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Materials) 생물체의 기하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레올러지 특성, 공기역학적 특성, 열 특성, 전기적 특성, 광학적 특성 등의 개념 및 측정 방법. |
3-3-0 |
138067 | 실험계측학 (Experimental Instrumentation) 농업기계 및 농업생산에 필요한 계측용 센서, 신호처리, 장치의 구성 및 성능실험방법. |
3-3-0 |
138100 | 전도 열전달 (Conduction Heat Transfer) 전도열전달 방정식 및 전도열전달 과정에 대한 에너지보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여러 기하학적 조건과 정상 및 비정상상태 열전달에 관한 해석적 해와 수치 해를 구하는 방법. |
3-3-0 |
138071 | 농업기계분석 (Analysis of Agricultural Machines) 농업기계에 응용된 기구의 기구학적, 동력학적 분석. |
3-3-0 |
138072 | 농업기계동력학 (Dynamics of Agricultural Machines) 농업기계의 동력학적 분석. |
3-3-0 |
138073 | 농용 트랙터 설계 (Design of Agricultural Tractors) 견인이론 및 트랙터의 안정성 등에 근거한 농용트랙터의 설계. 주행장치부의 설계, 엔진의 선정 및 트랜스미션의 설계. |
3-3-0 |
138074 | 축산 환경 처리 기계학 (Enviromental Treatment Machinery for Animal Production) 축산 경영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및 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기계. |
3-3-0 |
138078 | 응용유한요소해석 (Applied Finite Element Analysis) 농업, 생물 및 식품공학에 관련된 문제에 대한 유한요소해, 전도, 대류, 유체유동을 포함한 1차 및 2차원 축대칭 문제. 구조 및 고체역학에 관련된 응용 문제. |
3-3-0 |
138081 | 농업계통분석 (Agricultural System Analysis) 농업계통의 분석에 적용될 LP의 이론과 응용 및 문제 해결 방법. |
3-3-0 |
138082 | 농업생물시스템의 상사와 모델링 (Similitude and Modeling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ystems) 농업생물시스템의 공학적측면을 상사 및 모델링 기법으로 모형화. |
3-3-0 |
138084 | 생물영상처리 (Image Processing for Biological Products) 영상처리기법의 농업에의 응용. 농산물의 외형, 색도등을 구분하여 선별, 비파괴적기법의 농산물 물성파악. |
3-3-0 |
138086 | 농업열자원공학 (Agricultural Thermal Resources) 현재 및 미래의 농업에너지자원의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과 태양에너지, 지열에너지, 풍력 및 화석연료 에너지의 농업적응용. |
3-3-0 |
138101 | 대류 열전달 (Convection Heat Transfer) 경계층 흐름에 대한 연속방정식, 운동량방정식 및 에너지방정식의 유도, 물체표면과 관내의 층류 및 난류흐름에 대한 대류열전달. |
3-3-0 |
138088 | 식품압출성형공학 (Extrusion and Injection Molding) 식품, 제약, 축산사료분야에서 요구되는 압출 및 사출 성형 이론 설계, 압출기 및 사출기의 구조, 압출 및 사출 성형 방법(스크루우 설계, 용융과정의 해석, 수치해석), 레올러지, 실제 산업 응용 분야. |
3-3-0 |
138092 | 생물산업경영학 (Management of Bio-industry) 생물산업체의 창업 및 경영에 필요한 이론 및 실무능력배양과 현장 적응력 증진을 위한 과제 연구 |
3-3-0 |
138095 | 에너지시스템 (Energy Systems) 에너지시스템의 이론과 응용. 에너지평형, 열역학적 측면, 경제성분석을 통한 시스템 분석. 태양열, 지열, 풍력, 연료전지, 바이오연료 등 에너지변환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 |
3-3-0 |
138096 | 태양열공학 (Solar Thermal Engineering) 태양에너지 집열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 태양과 지표간의 기하학을 이용한 태양복사열의 측정. 태양열 집열판, 열에너지 저장장치의 모델링. |
3-3-0 |
138097 | 농업신재생에너지 (Renewable Energy in Agriculture) 농업에너지원으로 이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기본개념 및 응용. 태양열, 지열, 풍력, 연료전지, 바이오연료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최신동향 연구. |
3-3-0 |
138098 | 농업바이오에너지 (Bioenergy in Agriculture) 바이오에너지의 기본개념과 농업적 이용에 대한 고찰. 열화학적, 생화학적, 물리화학적 에너지 변환 기술의 기본 원리와 농업적 이용에 대한 연구 및 개발 동향 파악. |
3-3-0 |
138099 | 수학후 관리 공학 (Post-harvest Engineering) 농산물 예냉, 저장, 포장 등 농산물 수확 후 처리에 필요한 기술의 최신동향을 연구 |
3-3-0 |
138102 | 에너지공학특론 (Advanced Energy Engineering) 연소이론을 통한 에너지 분석, 에너지시스템과 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
3-3-0 |
138103 | 복사 열전달 (Convection Heat Transfer) 복사의 특성, 표면에서 복사의 상호작용, 형태계수의 개념과 복사열교환 문제의 기하학적 특성 및 물체 표면 간 및 밀폐공간에서의 복사열전달. |
3-3-0 |
138075 | 농용로봇공학(Robot Ebgineering for Agriculture) 로봇공학의 원리; 포장기계의 자율주행 기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X-Y table 및 모터 제어 기술. |
3-3-0 |
138104 | 생물물리학 특강(Topics in Biophysics) 본 과목은 물리학 및 기본 역학의 이론과 방법을 이용하여 복잡한 생물학의 문제를 공학적으로 해석한다.분자생물학 수준부터 복잡한 조직세포 수준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최신 연구동향을 통해서 살아있는 시스템을 이해함에 있어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학습한다. |
3-3-0 |
138105 | 생체역학 특강(Topics in Biomechanics) "본 과목은 동식물, 인체 등의 생물체에 적용되는 응용역학에 대해 다룬다. 생체의 구조와 조직 그리고 기관을 생체역학적으로 해석한다. 본 과목은 정역학, 동역학, 열역학, 유체역학, 열과 물질 전달의 역학적차원에서 생물학을 이해하고 바이오 응용공학 기술을 학습한다." |
3-3-0 |
138106 | 생물재료역학 특강(Topics in Material Engineering for Biological) 본 과목은 생물재료 및 생물체의 이론적 구조해석과 압축, 인장, 비틀림, 전단, 굽힘 강도 등의 재료역학적 특성을 분석한다. 부하와 온도 변화에 의해 생물재료 내에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률을 분석하고, 탄성계수 및 항복점 등의 역학적 특성을 구명한다. 생물재료의 구조적 강도와 생체기능을 고려한 응용기기 및 장치의 역학적 특성을설계 및 제조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
3-3-0 |
138107 | 생물공정시스템 특강(Topics in Biological and Process Engineering) "본 과목은 공학생물시스템개론, 생물화학공학 및 생물재료공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용한 생체물질의 효율적 생산기술과 대량생산에 필요한 생물공정시스템을 설계하는 공학적 기술을 다룬다.세포의 배양, 추출과 분리, 생물적-화학적-물리적 물성의 개선에 필요한 기기의 원리와 생산을 위한 장치를 설계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공정시스템 분석 및 모델링, 최적화 등을 포함한다. 최신 연구동향을 통해 바이오멤스,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생물학을 이해할 수 있는 공정공학 플랫폼 기술을 학습한다." |
3-3-0 |